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Validator가 Chilled 상태가 되면 어떤 일이 발생하나요?

어제 업데이트함

Validator가 Chilled 상태가 된다는 것은 해당 Validator가 Active node pool에서 제외되어 더 이상 블록을 생성하거나 검증할 수 없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 슬래싱(Slashing)과 같이 스테이킹된 토큰이 감소하는 패널티는 없지만, 해당 Validator는 보상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다시 보상을 받으려면 Validator는 validate할 의사를 다시 표시하고, 새로운 Era에서 Active Validator pool에 재선출되어야 합니다.

Chilled 상태는 주로 해당 Validator가 장시간 downtime 상태를 유지할 때 발생하며, 이는 네트워크 전체나 다른 Validator들과 관련되지 않은 isolated event일 때입니다.

Chilling의 목적은 Validator에게 노드가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운영자의 주의나 조치가 필요하다는 신호를 주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보통 심각한 위험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Validator나 그를 지지한 Nominator는 슬래싱(Slashing)되지 않습니다. 다만, Chilled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해당 Validator는 reward를 받을 수 없게 되며, Nominator도 그 Validator에 위임한 스테이킹에 대해 보상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Nominator가 여러 Validator에게 분산 위임하고 있다면, 스테이킹은 자동으로 다른 선택된 Validator들에게 배분되어 보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반대로 단 하나의 Validator에게만 위임한 상태라면, 그 Validator가 Chilled 상태에 있는 동안은 보상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