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슬래싱(Slashing)이란 무엇인가요?

어제 업데이트함

슬래싱(Slashing)은 Validator가 Node Network 내에서 부적절한 행위를 했을 때 부과되는 패널티입니다. 여기에는 장시간의 downtime, duplicate block 생성, 잘못된 블록의 validation, 네트워크에 대한 coordinated attack 참여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종종 악의적인 의도 없이 발생하기도 하며, 실제로 많은 경우 실질적인 피해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상황에서는 Slashing event가 발생하더라도 처벌 수치는 0%로 설정되어 기록만 남고 토큰 손실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Validator가 오랜 시간 다운되어 있었던 경우, 0%의 Slash가 적용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엔 오히려 Chilled 상태가 적용됩니다.

실제 0%를 초과하는 슬래싱(Slashing)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내 10% 이상의 노드가 동시에 다운될 경우에만 발생하며, 그 외의 상황에서는 슬래시 비율이 1% 미만의 소규모 페널티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복수의 Validator가 네트워크에 피해를 주기 위해 악의적인 블록을 검증하거나 명백한 공격 행위에 참여한 경우에는, 최대 100%까지의 staked balance가 슬래싱(Slashing)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대한 패널티는는 네트워크의 안정성에 중대한 위협을 끼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슬래싱(Slashing) 해당 Era 동안 발생한 Validator의 전체 staked balance에 적용되며, 여기에는 Validator 본인의 스테이킹과 함께 해당 Era에서 그 Validator를 지지하고 있던 Nominator들의 스테이킹도 포함됩니다.

다만, 만약 어떤 Validator에게 Slashing이 적용되었더라도, 해당 Era 동안 당신이 그 Validator를 Actively support하지 않았다면, 당신의 스테이킹은 슬래싱(Slashing)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나요?